ㅎ
CLIP STUDIO PAINT의 [보조 도구 상세] 팔레트 카테고리 ‘핸드 포즈’, ‘행간/맞춤’, ‘호환 설정’, ‘화상 변형’, ‘화상 설정’, ‘화상 소재’, ‘환경’, ‘회전’ 기능을 소개합니다.
핸드 포즈
[오브젝트] 보조 도구 등으로 3D 데생 인형이나 3D 캐릭터 소재 선택 시 손 포즈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①핸드 스캐너
‘핸드 스캐너 사용’을 참조하세요.
②핸드 포즈
손과 손가락의 포즈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손 포즈 결정’을 참조하세요.
행간/맞춤
[텍스트] 보조 도구 사용 시 또는 [오브젝트] 보조 도구로 텍스트 레이어 선택 시 줄 맞춤, 줄 간격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①줄 맞춤
문자 줄 맞춤 위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세로쓰기인 경우 [위 맞춤], [가운데 맞춤], [아래 맞춤] 중에서, 가로쓰기인 경우 [왼쪽 맞춤], [가운데 맞춤], [오른쪽 맞춤] 중에서 문자를 정렬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②프레임 내에서 줄 바꿈
ON으로 설정하면 텍스트가 프레임 안에 들어갈 수 있도록 텍스트 줄을 바꾸어 표시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내에서 줄 바꿈]을 ON으로 설정하면 프레임의 작동이 바뀝니다. 핸들을 드래그하여 프레임을 확대해도 글꼴 크기가 변경되지 않습니다. 또한 문자 수가 많아 프레임에 다 들어가지 못한 경우 프레임에서 벗어난 텍스트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핸들을 드래그하여 프레임을 확대하면 숨겨져 있던 텍스트가 표시됩니다.
③균등 분할
[프레임 내에서 줄 바꿈]을 ON으로 설정하면 균등 분할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프레임 내에서 줄 바꿈이 없는 줄에 대해 프레임 내에서 줄 바꿈을 할 수 있도록 문자 사이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균등 분할]을 설정하면 [줄 맞춤] 설정이 무효화됩니다.
④프레임 맞춤
프레임 내에서 텍스트를 정렬할 위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세로쓰기의 경우 [왼쪽], [가운데], [오른쪽]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로쓰기의 경우 [위], [가운데], [아래]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⑤줄 간격
줄 간격을 슬라이더나 수치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줄 간격을 정하는 단위는 [지정 방법]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보조 도구에서 줄을 선택하면 줄마다 줄 간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⑥지정 방법
[줄 간격] 지정 방법을 [길이 지정]과 [백분율 지정]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길이 지정]은 줄 간격의 폭을 포인트(pt) 또는 Q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백분율 지정]은 문자 크기에 대한 비율(%)로 줄 간격의 폭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문자 단위 설정은 [환경 설정] 대화 상자의 ‘자/단위’ 중 [텍스트 단위]에서 설정합니다.
호환 설정
[텍스트] 도구 선택 시 또는 [오브젝트] 보조 도구로 텍스트 레이어를 선택했을 때 표시됩니다. [버전]에서 텍스트 그리기 버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버전]을 설정하면 텍스트 그리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새로운 버전을 선택하면 새로운 기능이 반영된 텍스트로 그려지지만, 이전 버전의 CLIP STUDIO PAINT에서 CLIP STUDIO FORMAT 파일 열기 시 텍스트 편집이 잠길 수 있습니다. 이전 버전을 선택하면 해당 버전의 CLIP STUDIO PAINT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화상 변형
키 프레임이 유효화된 레이어나 2D 카메라 폴더를 선택하면 [화상 변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①변형
[타임라인] 팔레트에서 선택한 프레임에 편집 중인 레이어나 2D 카메라 폴더에서 [화상 변형] 카테고리의 모든 설정이 기록된 키 프레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②이전 키 프레임으로
탭하면 선택한 프레임의 바로 앞에 있는 [변형] 키 프레임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변형] 외에 [위치], [확대율], [회전각], [회전 중심] 항목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③키 프레임 추가/삭제
탭하면 [타임라인] 팔레트에서 선택한 프레임에 변형 설정을 기록한 키 프레임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미 키 프레임이 표시되어 있으면 선택한 프레임 중에서 키 프레임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변형] 외에 [위치], [확대율], [회전각], [회전 중심] 항목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화상 변형] 카테고리에서 [변형] 이외의 키 프레임을 탭하여 삭제하면 [변형] 오른쪽에 표시되는 키 프레임이 안쪽 색이 투명한 키 프레임으로 변경됩니다.
④다음 키 프레임으로
탭하면 선택한 프레임의 바로 뒤에 있는 [변형] 키 프레임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변형] 외에 [위치], [확대율], [회전각], [회전 중심] 항목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⑤위치
레이어 및 레이어 폴더를 배치할 위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변형 테두리의 회전 중심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합니다.
가로 방향 좌표값은 [X]에서, 세로 방향 좌표값은 [Y]에서 캔버스 왼쪽 위부터 회전 중심까지의 위치를 픽셀 단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⑥확대율
레이어 및 애니메이션 폴더의 확대율을 원본 화상에 대한 비율(%)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가로]와 [세로] 비율을 각각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 레이어 폴더, 2D 카메라 폴더, 그라데이션 레이어, 3D 레이어를 선택하면 전체 확대율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⑦종횡비 고정
ON으로 설정하면 레이어 및 애니메이션 폴더의 종횡비를 유지한 상태로 확대/축소할 수 있습니다.
단, 레이어 폴더, 2D 카메라 폴더, 그라데이션 레이어, 3D 레이어를 선택하면 이 항목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⑧회전각
수평 위치에서 화상의 회전 각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⑨회전 중심
회전 중심 위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준 위치는 확대율이나 위치를 변경하지 않은 변형 테두리의 회전 중심 위치입니다.
가로 방향의 좌표값은 [X]에서, 세로 방향의 좌표값은 [Y]에서 캔버스 왼쪽 위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까지의 위치를 픽셀 단위로 지정합니다.
메모 | 캔버스에서 회전 중심 위치를 변경하려면 회전 중심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이동합니다. 변형 테두리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해도 회전 중심의 위치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
화상 설정
[편집] 메뉴 → [변형]의 각 항목을 설정하면 변형 방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①가로 확대율
가져온 화상의 가로폭을 원본 화상에 대한 비율(%)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②세로 확대율
가져온 화상의 세로폭을 원본 화상에 대한 비율(%)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③원본 화상 비율 유지
ON으로 설정하면 [가로 확대율]과 [세로 확대율]을 설정할 때 설정을 시작한 시점의 화상 종횡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핸들을 사용하면 확대/축소를 시작한 시점의 종횡비를 유지한 상태로 확대/축소할 수 있습니다.
④회전각
수평 위치에서 화상의 회전 각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⑤위치 조정
지정한 위치에서 변형할 화상의 가이드선을 따라 확대/축소할 수 있습니다. [캔버스], [자유 위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재단선이나 기본 테두리를 표시하면 [재단 여백], [완성], [기본 테두리]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메모 | [편집] 메뉴 → [변형] 조작을 [오토 액션] 팔레트에 기록할 경우 [위치 조정] 설정이 우선적으로 기록됩니다. 다른 설정을 기록하려면 [위치 조정]을 [자유 위치]로 설정한 후 기록합니다. |
⑥보간 방법
화상을 변형할 때 인접 픽셀 간의 색 보간 방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변형하는 대상에 따라 설정 가능한 항목이 다릅니다.
소프트 윤곽(쌍선형) | 윤곽(색의 경계)이 인접 픽셀의 색과 섞여 매끄러워집니다. 단, 변형 내용에 따라 윤곽이 흐려질 수 있습니다. |
하드 윤곽(최단입점) | 화상 내 픽셀을 복제하고 보간합니다. 인접 픽셀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윤곽(색의 경계)이 선명하게 표현됩니다. 단, 변형 내용에 따라 윤곽이 들쭉날쭉할 수 있습니다. |
윤곽 강조(쌍입방) | 윤곽(색의 경계)이 인접 픽셀의 색과 섞여 매끄러워집니다. [소프트 윤곽(쌍선형)]에 비해 윤곽이 강조되도록 처리됩니다. 단, 변형 내용에 따라 윤곽 주변에 화이트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고정밀도(색 평균) | 변형 후의 한 픽셀에 포함된 변형 전의 픽셀 색 평균을 엄격하게 계산합니다. 확대는 선명해지고 축소는 매끄러워집니다. 가는 선을 축소해도 끊어지지 않습니다. 단, 변형 내용에 따라 윤곽이 흐려지거나 처리 내용에 따라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매끄러움(오버샘플링) | 변형 후의 한 픽셀을 여러 개의 픽셀로 분할하고 각각에 대해 변형 전의 픽셀 색 평균값을 반영합니다. 윤곽은 매끄러워지지만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
화상 소재
[오브젝트] 보조 도구로 화상 소재 레이어를 선택하면 [화상 소재]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항목은 ‘화상 설정’ 카테고리와 동일합니다. 단, [화상 소재] 카테고리에서는 [보간 방법]에서 [매끄러움(오버샘플링)]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환경
[오브젝트] 보조 도구로 3D 레이어나 3D 소재를 선택하면 3D 레이어 표시 방법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①렌더링 설정
탭하면 ‘렌더링 설정 대화 상자’가 표시되어 3D 소재의 윤곽선, 조명(광원) 등의 설정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②물리 시뮬레이션
3D 캐릭터 소재에 설정된 물리 연산의 유무효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ON으로 설정하면 3D 캐릭터 소재를 움직일 때 물리 연산이 반영되어 머리카락이나 스커트 등이 휘날립니다.
[물리 시뮬레이션]은 CLIP STUDIO MODELER나 CLIP STUDIO COORDINATE에서 물리 설정을 한 3D 캐릭터 소재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됩니다.
메모 | ·CLIP STUDIO MODELER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창작 응원 사이트 CLIP STUDIO를 참조하세요. ·물리 설정을 한 3D 캐릭터 소재를 가져오면 CLIP STUDIO PAINT의 작동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물리 시뮬레이션]을 OFF로 설정하면 개선될 수 있습니다. |
③물리 설정
탭하면 ‘물리 설정 대화 상자’가 표시되어 3D 캐릭터 소재의 물리 연산 반영 방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④편집 표시 설정
3D 레이어 편집 시 표시 방법을 [표준]과 [고속]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고속]을 선택하면 3D 레이어 표시가 더욱 빨라집니다. 단, 3D 레이어 조작 중 [레이어 속성] 팔레트나 [레이어] 팔레트에서 3D 레이어에 설정한 효과는 숨겨져 있습니다. 또한 [내비게이터] 팔레트의 화상 미리 보기에서 캔버스의 그리기 전체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3D 레이어 편집이 끝난 후 다른 레이어를 선택하면 원래 표시로 돌아갑니다.
⑤매니퓰레이터
ON으로 설정하면 Ver.1.5 호환 3D 캐릭터 소재 부위에 [매니퓰레이터]가 표시됩니다. [매니퓰레이터]를 드래그하면 3D 캐릭터 소재에 포즈를 적용하거나 3D 오브젝트 소재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각 링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드래그하면 선택한 부위가 링 방향으로 회전합니다.
렌더링 설정 대화 상자
A.윤곽선
선택한 3D 소재의 윤곽선에 대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①윤곽선 넣기
ON으로 설정하면 3D 소재에 윤곽선을 넣을 수 있습니다.
②폭
윤곽선 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숫자가 커질수록 윤곽선이 굵어집니다.
③불투명도
윤곽선 불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④오프셋 양
윤곽선에 반영할 3D 소재의 폴리곤 오프셋 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을 변경하면 다른 폴리곤에 묻힌 윤곽선 표시 여부가 변경됩니다.
⑤색
윤곽선 색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컬러 표시부를 탭하면 ‘색 설정 대화 상자’가 표시됩니다.
B.조명
선택한 3D 소재의 조명에 대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⑥광원 영향 있음
ON으로 설정하면 선택한 3D 소재에 광원이 반영됩니다. ‘음영’ 카테고리의 동일한 항목과 연동합니다. 광원 설정은 ‘광원’ 카테고리를 참조하세요.
[3D 레이어 설정]의 [광원 영향 있음]을 OFF로 설정하면 이 항목은 설정할 수 없습니다.
⑦방식
선택한 3D 소재의 음영 처리 방식을 [고러드], [폰], [툰]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고러드]는 매끄러운 그림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폰]은 [고러드]보다 더 매끄러운 그림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 환경에 따라 3D 소재 표시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툰]은 색의 계조를 줄인 그림자로 만들 수 있습니다.
⑧바닥면에 그림자 표시
ON으로 설정하면 3D 소재의 그림자를 3D 공간의 바닥면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음영’ 카테고리의 동일한 항목과 연동합니다.
C.텍스처
선택한 3D 소재의 텍스처 표시 방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⑨텍스처 사용
선택한 3D 소재의 텍스처를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텍스처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가 전환되지 않습니다.
⑩알파 테스트
선택한 3D 소재에서 텍스처의 선화를 추출할 불투명도 역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알파 테스트]를 '0.5'로 설정하면 [불투명도]가 50% 이하인 텍스처에서는 선화가 추출되지 않습니다.
D.백페이스 컬링
ON으로 설정하면 백페이스 컬링이 유효화됩니다. 폴리곤의 뒷면 그리기가 생략됩니다.
E.클리핑 평면
클리핑 평면이란 카메라의 시점을 따른 가상 평면을 말합니다. 근거리 평면과 원거리 평면이 있습니다. 3D 레이어 전체에 효과를 적용합니다.
⑪카메라 리셋 시 자동 설정
ON으로 설정하면 오브젝트 런처의 [편집 대상 주시] 등으로 카메라 위치를 리셋했을 때 [근거리 평면]과 [원거리 평면]의 설정값을 자동으로 적용합니다.
⑫근거리 평면
근거리 평면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평면보다 가까운 면(폴리곤)은 그려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앞쪽의 파츠 등을 숨길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⑬원거리 평면
원거리 평면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평면에서 멀리 떨어진 면(다각형)은 그려지지 않습니다.
F.조명
3D 레이어 전체의 광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⑭광원 영향 있음
ON으로 설정하면 3D 레이어 전체에 광원이 반영됩니다. ‘음영’ 카테고리의 동일한 항목과 연동합니다. 광원 설정은 ‘광원’ 카테고리를 참조하세요.
⑮그림자
3D 레이어 전체의 그림자 표시 방법을 [투영하지 않음], [수직으로 투영], [광원을 따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할 수 있는 투영 방법은 ‘신규 3D 레이어 그림자 표시 설정’과 동일합니다.
G.렌더링 방식
3D 레이어의 렌더링 방식을 [표준], [ver.1.12.3 이전], [ver.1.11.4 이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H.모든 모델에 적용
캔버스의 모든 3D 레이어에 대해 [렌더링 설정] 대화 상자의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물리 설정 대화 상자
A.스커트
3D 캐릭터 소재를 조작했을 때 스커트의 움직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스커트의 움직임은 CLIP STUDIO MODELER에서 스커트의 강체를 설정하면 설정할 수 있습니다. CLIP STUDIO MODELER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창작 응원 사이트 CLIP STUDIO를 참조하세요.
①중력
스커트에 작용하는 중력의 영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수치가 클수록 중력의 영향이 커집니다.
②활발함
스커트의 움직임 크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숫자가 클수록 캐릭터가 움직일 때 스커트의 움직임이 커집니다.
③스프링
스커트의 굽은 정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수치가 클수록 캐릭터가 움직일 때 스커트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B.지면 높이
스커트가 접지할 때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높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캐릭터의 허리 위치가 [지면 높이]보다 위에 있는 한, 스커트가 [지면 높이]보다 아래로 내려가지 않습니다.
C.3D 레이어 설정
3D 캐릭터 소재를 조작할 때 물리 연산을 어떻게 반영할지 3D 레이어 전체에 설정합니다.
④스커트만 물리 연산
스커트에만 물리 연산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기타 물리 연산은 CLIP STUDIO PAINT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D.모든 모델에 적용
캔버스 내의 모든 3D 레이어에 포함된 3D 캐릭터 소재에 대해 [물리 설정] 대화 상자의 설정 내용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회전
[회전] 보조 도구를 선택하면 회전 방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항목은 ‘회전 보조 도구’를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