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파일을 캔버스에 가져오기

[파일] 메뉴 → [가져오기] 항목을 선택하면 CLIP STUDIO PAINT의 캔버스에 화상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져올 수 있는 파일 형식은 BMP, JPEG, PNG, WebP, TIFF, Targa(확장자: tga), Adobe Photoshop 문서(확장자: psd), Adobe Photoshop 대용량 문서(확장자: psb), CLIP STUDIO 콘티 파일(확장자: csnf)입니다.

원본 파일의 레이어 구성에 관계없이 한 파일당 한 장의 화상 소재 레이어가 작성됩니다. 화상 소재 레이어의 편집 방법은 ‘화상 소재’를 참조하세요.

또한 화상 소재 레이어를 선택해도 펜이나 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그릴 수 없습니다. 래스터화하면 래스터 레이어로 변환되어 그릴 수 있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래스터화’를 참조하세요.

화상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화상]을 선택하면 화상 소재 레이어로 화상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Windows/macOS에서는 화상 파일을 [레이어] 팔레트에 드래그 앤 드롭해도 화상 소재 레이어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두 방법 모두 여러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파일 수만큼 화상 소재 레이어가 작성됩니다.

선택 범위를 작성한 후 실행하면 레이어 마스크가 작성되어 선택 범위 밖의 화상은 숨겨집니다.

화상에서 패턴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화상에서 패턴]을 선택하면 처음부터 타일링된 상태의 화상 소재 레이어로 화상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여러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한 파일 수만큼 화상 소재 레이어가 작성됩니다.

선택 범위를 작성한 후 실행하면 레이어 마스크가 작성되어 선택 범위 밖의 화상은 숨겨집니다.

포토 라이브러리에서 [iPad]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포토 라이브러리에서]를 선택하면 iPad 포토 라이브러리에서 화상 파일을 화상 소재 레이어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선택 범위를 작성한 후 실행하면 레이어 마스크가 작성되어 선택 범위 밖의 화상은 숨겨집니다.

스토리지에서 [Android/Chromebook]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스토리지에서]를 선택하면 Android나 Chromebook 스토리지에서 화상 파일을 화상 소재 레이어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선택 범위를 작성한 후 실행하면 레이어 마스크가 작성되어 선택 범위 밖의 화상은 숨겨집니다.

카메라 촬영 [태블릿]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카메라 촬영]을 선택하면 태블릿의 카메라가 실행됩니다. 카메라로 촬영하고 화면 오른쪽 아래 [사진 사용]을 탭합니다.

선택 범위를 작성한 후 실행하면 레이어 마스크가 작성되어 선택 범위 밖의 화상은 숨겨집니다.

일괄 가져오기 [EX]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작품의 각 페이지에 화상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일괄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파일 선택 대화 상자가 표시됩니다. 가져올 파일을 여러 개 선택합니다.

첫 페이지의 캔버스가 미리 보기로 표시됩니다. 캔버스에 표시된 핸들이나 [도구 속성] 팔레트를 사용하여 화상 위치를 지정합니다.

210_files_0037

지정 후 [일괄 가져오기] 대화 상자에서 화상 가져오기를 시작할 페이지나 레이어 종류를 설정합니다.

[일괄 가져오기] 대화 상자에서 [OK]를 탭하면 각 페이지에 화상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페이지 수보다 많은 화상 파일을 선택하면 파일 수에 맞게 페이지가 추가됩니다.

메모

페이지 관리 파일이 작성되지 않은 캔버스에서 [일괄 가져오기]를 실행하면 ‘페이지 관리 폴더 작성 대화 상자’가 표시됩니다.

일괄 가져오기 대화 상자

210_files_0038

시작 페이지

[1페이지]를 선택하면 첫 페이지부터 화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지정 페이지]를 선택하면 [페이지 번호]에서 지정한 페이지부터 화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래스터 레이어로 가져오기

ON으로 설정하면 화상을 래스터 레이어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OFF로 설정하면 화상 소재 레이어가 됩니다.

밑그림 레이어로 설정

ON으로 설정하면 밑그림 레이어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파일로 내보내거나 인쇄할 때 레이어에 그린 내용이 반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밑그림 레이어로 설정 [PRO/EX]’를 참조하세요.

페이지 관리 폴더 작성 대화 상자

단면 페이지의 캔버스를 여러 페이지 작품으로 변환할 때 표시되는 대화 상자입니다.

210_files_0039

페이지 관리 폴더의 작성 장소

페이지 관리 폴더의 작성 장소를 지정합니다. [참조]를 탭하면 작성 장소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편집 중인 캔버스는 여기에서 지정한 폴더에 신규 저장됩니다.

관리 폴더

관리 폴더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폴더명은 관리 파일(확장자: cmc)의 파일명에도 적용됩니다.

관리 파일

관리 파일명(확장자: cmc)이 표시됩니다.

페이지 표시 방법

페이지 표시 방법을 [제본 작품용]과 [웹툰 작품용]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본 작품용]을 선택하면 이 항목 아래에 제본 작품용 설정 항목이 표시됩니다. 또한 여기서 선택한 항목에 따라 페이지 관리 창 표시가 전환됩니다.

철 위치

책을 제본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사나 문장이 세로쓰기라면 [우철], 가로쓰기라면 [좌철]로 설정합니다.

시작 페이지

작품의 시작 페이지 방향을 설정합니다. 좌우 양면으로 펼쳤을 때 오른쪽에 배치되는 페이지부터 시작하려면 [오른쪽부터], 왼쪽에 배치되는 페이지부터 시작하려면 [왼쪽부터]를 선택합니다.

메모

[작품 기본 설정 변경] 대화 상자에서 [페이지 관리 폴더 작성] 대화 상자를 표시하면 [페이지 표시 방법], [철 위치], [시작 페이지]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스캔 장치 선택 [Windows/macOS]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캐너를 사용하기 위해 스캔 장치 드라이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스캔 장치 선택]을 선택합니다. [소스 선택] 대화 상자가 표시되면 사용할 스캐너를 선택하고 [선택]을 탭합니다.

스캔 [Windows/macOS]

시중에 판매되는 스캐너를 사용하여 종이에 그린 작품을 CLIP STUDIO PAINT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스캔]을 선택합니다.

스캐너 드라이버가 표시되면 드라이버를 설정하고 스캔을 시작합니다. 편집 중인 레이어에 스캔한 화상이 화상 소재 레이어로 추가됩니다.

메모

스캐너 설정 방법은 사용하는 스캐너에 따라 다릅니다. 스캐너에 첨부된 사용 설명서를 참조하세요.

연속 스캔 [Windows/macOS] [EX]

시중에 판매되는 스캐너를 사용하여 종이에 그린 작품을 여러 페이지 작품의 각 페이지에 화상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연속 스캔]을 선택합니다.

스캐너의 드라이버가 표시되면 드라이버를 설정하고 가져올 화상 수만큼 스캔을 시작합니다. 모든 화상을 스캔하면 드라이버를 종료합니다.

첫 페이지의 캔버스가 미리 보기로 표시됩니다. 캔버스에 표시된 핸들이나 [도구 속성] 팔레트를 사용하여 화상 위치를 지정합니다.

지정 후 [연속 스캔] 대화 상자에서 화상 가져오기를 시작할 페이지나 레이어 종류를 설정합니다.

[연속 스캔] 대화 상자의 [OK]를 탭하면 각 페이지에 화상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페이지 수보다 많은 화상 파일을 선택하면 파일 수에 맞게 페이지가 추가됩니다. [연속 스캔] 대화 상자의 기능은 [일괄 가져오기] 대화 상자와 동일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일괄 가져오기 [EX]’를 참조하세요.

210_files_0041

메모

페이지 관리 파일이 작성되지 않은 캔버스에서 [연속 스캔]을 실행하면 ‘페이지 관리 폴더 작성 대화 상자’가 표시됩니다.

파일 오브젝트 작성 [PRO/EX]

[파일] 메뉴 → [가져오기] → [파일 오브젝트 작성]을 선택하면 다른 화상 파일을 파일 오브젝트 레이어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져올 수 있는 화상 파일은 CLIP STUDIO FORMAT(확장자: clip)으로 저장한 파일, BMP, JPEG, PNG, WebP, TIFF, Targa, Adobe Photoshop 문서(확장자: psd), Adobe Photoshop 대용량 문서(확장자: psb)입니다.

파일 오브젝트 레이어는 ‘파일 오브젝트 레이어 [PRO/EX]’를 참조하세요.